GGmon
페페코인(PEPE) 이란? 본문
페페코인이란?
페페 코인(PEPE)은 유명한 온라인 밈 중 하나인 '개구리 페페'를 이용해 만든 이더리움 기반의 가상자산(암호화폐)입니다. 이 코인은 2021년 4월 16일에 출시되었습니다.
개구리 페페(Pepe the Frog)는 미국 작가 맷 퓨리(Matt Furie)가 2005년에 만든 만화 'Boy's Club'에 등장한 캐릭터입니다. 개구리 페페는 미국 커뮤니티인 4chan을 비롯하여 국내에서도 다양한 합성 이미지로 사용되며 '밈 대장'으로 알려져 있고, 이모티콘 등으로 자주 활용되었습니다. 이후 2016년에는 크립토 아트 프로젝트인 '레어 페페'를 비롯하여 블록체인 업계에서 다양한 밈을 양산해 왔습니다.
또한, 2019년에는 홍콩 시위에서 독재 정권과 권위주의에 저항하는 자유의 아이콘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페페 개구리는 종종 인간으로 변형되며, 대부분 초롱초롱한 볼록한 눈을 가지고 있으며, 슬픈 개구리(Sad Frog), 느낌이 좋은 개구리(Feels Good Man)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됩니다.
페페 개구리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으며, 한때는 외면받기도 했지만 이제는 고전적인 상징으로 자리 잡았으며,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며 계속해서 '점프'해 왔습니다.
페페 코인(PEPE)은 도지코인과 유사한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코인은 막대한 발행량과 저렴한 토큰 가격을 통해 토큰 구매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자체 밈을 형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위한 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개구리 페페가 유명한 밈에서 출발하여 도지코인이나 시바이누 코인과 같은 '밈코인'으로 재탄생하면서, 업계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도지코인과 시바이누 코인과 마찬가지로 출시 직후에 폭등세를 보여주었기 때문입니다. 이 두 코인은 모두 밈 코인 분야에서 대표적인 존재로 꼽히며, 출시 후 평균 4000% 이상의 상승세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특히, 이 두 코인은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발언에도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페페코인의 보유자 수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출시 이틀 만에 이더리움 통계사이트인 이더스캔에 따르면 페페코인의 보유자 수가 1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페페코인의 팀은 이에 대해 "세상에서 가장 재밌는 강아지 밈 코인인 도지코인과 시바이누의 시대는 지나고, 이제 페페코인의 시대가 찾아왔다"고 소개하였습니다.
페페코인(PEPE)의 토크노믹스
페페 코인의 탄생 목적은 "개(DOGE)가 지배하는 밈 트렌드를 깨고 개구리 페페를 밈의 왕좌에 올려놓음으로써 최고의 밈 코인으로 만들기 위함"이라고 페페 코인 홈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른 밈 코인들이 폰지 경제학을 중요시하는 반면, 페페 코인은 아직 신생 코인으로서 백서나 재단이 존재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페페 토큰은 사전 판매가 없으며 높은 거래세도 적용되지 않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페페 토큰의 총 공급량은 420조 6900억개이며, 6.9%는 유동성을 위해 팀이 멀티시그 지갑에 보관 중입니다. 해당 지갑은 "pepecexwallet.eth"라는 ENS 네임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나머지 93.1%는 현재 유동성 풀에 제공되어 있으며, 유동성 제공자(LP) 토큰은 소각되었습니다.
현재 페페 홀더와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페페코인이 설정한 로드맵의 일부인 1단계, 2단계, 3단계가 일부 완료된 상태입니다. 로드맵에 따르면 향후로는 홀더를 위한 디스코드 그룹, 페페 타임즈 디지털 뉴스레터 발행, 비트코인 플립 기능이 지원될 예정입니다.
페페코인은 16일에 출시되어 유니스왑, OKX 등의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거래되다가 19일부터는 MEXC, 게이트아이오, 후오비 등에도 상장되었습니다. 가격은 한 때 200배 이상 폭등한 적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국내 거래소에는 상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페페코인, 급등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번 페페코인의 가격 급등은 "트위터에서 형성된 가격 상승 메이킹"이라는 분석이 전문가들에 의해 제시되었습니다. 페페코인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트위터와 텔레그램을 가장 중요한 채널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도지코인은 레딧과 트위터에서 강력한 팬층이 형성되었지만, 페페는 트위터에 집중된 팬층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페페 코인은 이더리움 기반의 코인으로 "샌드위치 트레이딩"이 가능합니다. 샌드위치 트레이딩은 멤풀에서 트랜잭션이 처리되기 전에 트랜잭션이 모이는 곳에서, 봇을 통해 매수와 매도 주문을 걸어 차익거래를 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특히 이더리움에서는 샌드위치 트레이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전문가들은 도지코인과 페페코인과 같은 밈코인에 대해서도 샌드위치 공격이 가능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페페 관련된 밈은 시바견 관련 밈보다 더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구글 트렌드 데이터에 따르면 2004년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적인 페페(pepe) 관심도의 평균 수치는 53인 반면, 시바(siba)의 관심도 평균 수치는 4에 불과합니다. 또한 이미지 검색에서도 페페(pepe)는 59, 시바(siba)는 1을 기록하고 있어 페페가 이미지로서 더 많이 사용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 6일에는 밈코인 페페(PEPE)를 매수한 투자자가 단 3주 만에 900만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린 사례가 보도되기도 했습니다. 해당 투자자는 263달러로 페페코인을 매수하고, 380만달러에 일부를 매도한 후에도 현재 평가금액이 900만달러로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페페코인의 중앙 집중적인 구조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페페 코인의 미래는?
밈코인인 페페코인과 같은 경우에는 유틸리티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맞습니다. 즉, 페페코인은 토큰 소유와 거래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밈코인은 실제 사용 사례를 갖고 있어 본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므로 장기적으로 페페와 같은 밈코인보다 큰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페페코인 열풍으로 인해 '밈코인 전성기'가 새롭게 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페페코인의 상승세는 도지코인과 같은 밈코인 대세가 확산되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일부 가상자산 전문 투자자들은 밈코인과 그 생태계가 업계의 주요 문화로 남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밈코인의 특성인 변동성이 매수세를 자극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밈코인은 가상자산 거래 환경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변동성이 높기 때문에 투자 매력이 있다고 설명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규모가 큰 가상자산은 변동성이 낮아 투자 매력이 떨어질 수 있지만, 밈코인에서 투자 기회를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페페 코인의 주의점
밈코인의 높은 변동성은 투자 사기에 대한 주의를 필요로 합니다. 높은 변동성은 러그풀(투자 회수 사기 행위)과 같은 사기 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실제로 2021년에 개발된 "진도지 코인"과 "오징어게임 코인"은 밈코인으로 시작하여 러그풀에 이르렀습니다.
진도지 코인은 진돗개 밈을 사용해 개발된 밈코인이었습니다. 도지코인의 열풍을 모방하여 개발되었으나, 개발자는 많은 투자금이 모이자 관련 홈페이지를 폐쇄하고 사라졌습니다. 이로 인해 진도지 코인은 단 2일 만에 97% 이상 폭락하며 수십억원 규모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오징어게임 코인은 넷플릭스 인기 작품인 "오징어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된 밈코인이었습니다. 작품 인기를 끌고 발행가에 비해 2428%까지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개발자가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사라져 4만3000여명의 글로벌 피해자가 발생했습니다.
밈코인은 대체로 발행 의도가 불명확하고 코인의 기능이 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발행 초기에는 인기를 끌고 거래량이 증가하는데, 이는 단기적인 투자를 의도한 자금이 유입되는 결과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유의해야 합니다. 투자자의 관심이 급속히 집중되고 거래량이 증가하는 상황은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않으며, 밈코인에 따라 다니는 러그풀 리스크를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토렌트(BTTC)란 무엇인가요? (0) | 2023.05.22 |
---|---|
버거시티(BURGER)란? (0) | 2023.05.21 |
GMX가 무엇인가요? (0) | 2023.05.19 |
Bitcoin의 수수료 대 보상 비율은 무엇인가요? (0) | 2023.05.18 |
블록체인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나요? (0) | 2023.05.17 |